개인 정보 유출 사고가 잦은 요즘, 금융 범죄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수단으로 '여신거래안심차단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은행 방문 없이 스마트폰이나 PC를 통해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는 비대면 신청 가능 기관 목록은 많은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5월 기준으로 비대면 신청이 가능한 금융기관들을 정리하고, 각 기관별 신청 방법 및 유의사항을 안내드립니다.
여신거래안심차단서비스란?
여신거래안심차단서비스는 고객의 본인 의사에 따라 일시적으로 **여신거래(대출, 카드발급 등)**를 차단해 금융사기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입니다.
주요 기능
- 대출 신규 및 증액 차단
- 신용카드 신규 발급 차단
- 신용정보 조회 제한
신청은 비대면으로 가능하지만, 해제는 반드시 은행 영업점을 방문해 본인 확인 후 진행해야 하므로 더욱 안전합니다. 이는 금융사기 예방을 위한 금융당국의 권고에 따른 조치입니다.
비대면 신청이 가능한 주요 금융기관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2025년 5월 기준 총 4,012개 금융기관(은행, 저축은행, 상호금융, 우체국 등)에서 여신거래안심차단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대부분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뱅킹을 통한 비대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주요 금융기관의 비대면 신청 경로입니다.
1. KB국민은행
- 신청 방법: KB스타뱅킹 앱 또는 인터넷뱅킹
- 해제 방법: 영업점 방문 후 본인 확인 절차 필요
2. 신한은행
- 신청 방법: 신한 쏠(SOL) 앱 > 전체 메뉴 > 고객센터 > 금융거래제한서비스
- 해제 방법: 영업점 방문 필수
3. 하나은행
- 신청 방법: 하나원큐 앱 > 메뉴 > 사고신고 > 여신거래제한
4. 우리은행
- 신청 경로: 우리WON뱅킹 앱 > 전체메뉴 > 고객센터 > 사고신고 > 여신거래제한신청
5. NH농협은행
- 비대면 신청: NH스마트뱅킹 또는 올원뱅크 앱
6. 카카오뱅크
- 신청 방법: 카카오뱅크 앱 > 고객센터 > 상담/문의 > 여신거래 차단 신청
7. 토스뱅크
- 신청 경로: 토스 앱 > 전체 메뉴 > 설정 > 금융보안 > 여신거래 차단
8. 케이뱅크
- 신청 절차: 케이뱅크 앱 > 내 정보 > 금융사기 예방 서비스
9. SC제일은행
- 신청 가능 채널: SC제일은행 모바일뱅킹 앱 또는 웹사이트
10. 씨티은행 (한국지점)
- 서비스 상태: 일부 기능만 앱 지원, 전체 차단은 고객센터 문의 후 진행
비대면 신청 시 유의사항
- 앱 최신 버전 사용 필수: 구버전 앱에서는 신청 메뉴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본인 명의 스마트기기 사용 권장
- 해제는 무조건 영업점에서만 가능: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금융당국 방침
- 일부 금융사 앱은 평일 시간 외 신청 제한 있음
✅ 참고로 알아두면 좋은 금융기관 추가 정보
여신거래안심차단서비스는 대부분의 1금융권 외에도 제2금융권(저축은행, 캐피탈), 상호금융, 보험사, 우체국 등에서도 제공되고 있으며, 계좌개설 안심차단 서비스와 함께 이용하면 보안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 계좌개설 안심차단 서비스란?
- 비대면으로 신규 입출금계좌 개설을 차단하는 서비스
- 여신거래안심차단과 함께 설정 가능
- 어카운트인포 앱이나 금융회사 앱을 통해 신청 가능
서비스 신청 전 확인 체크리스트
- ✔️ 신용거래 차단은 대출이나 카드 신규 발급이 불가능해짐
- ✔️ 공공기관 신용조회도 차단될 수 있으므로 필요 시 사전 해제 필요
- ✔️ 해제는 영업점 방문 후 본인 확인이 필수
- ✔️ 보이스피싱, 문자피싱 의심 시 즉시 해당 서비스 신청 권장
안전한 금융생활을 위한 습관
여신거래안심차단서비스는 단순한 '차단' 기능을 넘어, 사기 피해를 예방하는 강력한 자가보안 시스템입니다. 특히 금융기관 방문 없이 모바일로 설정이 가능하고, 해제는 반드시 영업점에서 진행하도록 제한되어 있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금융범죄는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습니다. 단 한 번의 설정만으로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 서비스를 아직 사용하지 않았다면, 오늘 바로 확인해보세요.
🔎 관련 정보 더 보기
- 금융감독원 사이버보안센터: https://cyber.fss.or.kr
- 보이스피싱 신고센터(112 또는 1332)
- 금융소비자보호원: https://www.fss.or.kr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2025.04): https://www.fsc.go.kr
📌 문의 및 설정 도움: 각 은행 고객센터 또는 모바일앱 '고객센터 > 보안서비스' 메뉴 참조
'일상, 키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니어 일자리 정보사이트 총정리 2025 최신판 활용법부터 꿀팁까지 총정리 (1) | 2025.05.14 |
---|---|
2025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 총정리… 무료 조회 꿀팁까지 (1) | 2025.05.13 |
2025 주요 은행 여신거래안심차단서비스 신청 가이드 (0) | 2025.05.11 |
쿠팡플레이 6월 전면 무료화! 와우회원 혜택과 PASS까지 총정리 (2) | 2025.05.09 |
유심 해킹 막는 법! 여신거래안심차단서비스 신청 방법과 차단 원리 정리 (0) | 2025.05.08 |